[앵커멘트]
중국 선원들이 휘두른 흉기에
우리 단속 공무원들이 다친 이번 사건은
간과해서는 안 될 엄중한 사안입니다.
하지만 사건을 처리하는
정부의 태도는 소극적이고
몸을 사린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김정안 기자입니다.
[리포트]
농림수산식품부는 이례적으로
주한 중국 총영사를 불러들였습니다.
지난 30일 중국어선 선원들이
우리 단속 공무원 4명을 폭행한 것에
항의하기 위해섭니다.
하지만 공식 채널인 외교부를 두고
농식품부가 직접 대응에 나선 것은
모양새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오승렬 / 한국 외대중국연구소장]
“농수산부는 사실 기계적인,
기술적인 문제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외교상의 전략이나 대응은 외교부나
전 부처 차원에서 다뤄져야….”
외교통상부는 중국 측에 유감을 표했다는 말만 되풀이합니다.
[한혜진 /외교통상부 부대변인]
“오늘 주한 (중국) 대사관 통해 우리의 입장과
또 앞으로 지속적인 상호 협력 노력 필요하다는 점들을 전달….”
북한 문제 등 한반도 현안에 중국의 협조가
절실한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저자세 외교' 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익명을 요구한 외교부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 외교부가 나서는 것은
적절치 않을 것 같다는 내부 판단이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하루 최대 불법 조업 건수가 1만 건에 육박하고 있는
심각한 현실에 맞지 않는 안이한 대처라는 비판과 함께
실질적인 대안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오승렬 /한국 외대 중국연구소장]
“중국의 불법 어선 수의 증가, 사고의 빈발 정도에 따라서
현재 1700척으로 되어 있는 합법적 퀘타를 줄여나가는 겁니다.
직접적 경제적 타격이 되기 때문에.”
"냉혹한 국제정치 현실에서 상대방에게 호의를 기대하고
먼저 양보하는 저자세 전략이 성공한 경우는 드뭅니다.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전략이 필요한 때라는 지적입니다."
채널A 뉴스 김정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