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아파트 단지 안에 1930년대 일제강점기 시절 사용했던 일본군 장교 숙소가 복원됐습니다.
이 숙소는 5년 전 재개발 공사과정에서 22개동에 이르는 일본군 관사 터가 발견되자 문화재청이 근대문화유산으로 복원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복원이 끝났는데도 개관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전시관이자 휴게시설로 마련됐지만 1년 째 아무도 이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에서 언제 복원될지 모르는 다른 문화재들과 함께 등록을 해야한다고 했기 때문입니다.
[문화재청 관계자]
"군부대 일제 조사 들어가 있지 않습니까. 내년도에 그 용역이 끝나야지. 다른 것과 합쳐지면서 종합평가가 된단 겁니다.”
담당 공무원은 당초 약속과 다르지 않냐는 질문에 그때는 없어서 모른다고 말합니다.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관계자]
“2006년도 사항은 제가 정확히 알 수 없는 부분에 있습니다."
말문이 막히자 이제는 당시 심의를 맡았던 문화재 위원회에 책임을 떠넘깁니다.
[문화재청 관계자]
“저야 모르죠. 모든 권한은 위원회에서 갖고 있는거고요.”
문화재위원회 측도 발뺌하긴 마찬가지입니다.
[/ 현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문화재위원장]
“저한테 자문을 해달라고 왔는데. 저는 내용을 잘 모르고요. 서울시하고 거기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얘기할 일이지.”
제도적으로 문화재 검토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점도 행정이 허술하게 된 한가지 이유입니다.
[문화재청 관계자]
“신청하고도 몇 년이 지나도 관계는 없는거죠. ”
복원을 맡은 SH공사는 복원 비용으로 10억여원을 들였습니다. 이 돈은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전가됐지만 주민들은 이런 사실조차 몰랐습니다. 복원을 지시하고 방치한 문화재청, 복원 비용을 주민에게 전가한 SH공사. 자신들의 돈이 들어간 줄도 모르는 주민들에게는 폐가처럼 방치된 일본군 관사만 남았습니다.
채널 A 뉴스 김민지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