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한약유통경로 투명화 나선다

2012-01-12 00:00 사회,사회

중금속 함량을 넘기거나
가짜 재료를 이용한 불법 한약재 소식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한약 먹고 싶어도 그런 문제들 때문에 꺼려지셨을 텐데요,
정부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한약유통경로 투명화에 나섰습니다.

이미지 기자입니다.

===============================================

한의원에서 처방해주는 한약을,
여전히 못 미더워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가장 불안해 하는 것이 한약재의 안전성 부분입니다.

[인터뷰: 지영숙 / 서울 동대문구]
“중국재 섞이고 요새 곰팡이 나고
그런 게 참 많잖아요, 매스컴 같은 데 보면.
그래서 한약 먹기 꺼려지더라고요, 이제는.”

실제 지난해 정부가 한방 의료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한방 의료에 대해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점으로
일반 시민들은 한약재의 안전성 확보를 꼽았습니다.

한방 의료를 신뢰한다는 응답도 전체의 45%에 불과했습니다.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해,
정부가 한약과 한약재 유통 관리 강화에 나섭니다.

지금까지는 한약재 생산 농민이
도매상이나 한약제조업소, 병의원에 직접 약재를 팔 수 있었다면,
이제 정부규격기준 검사능력을 갖춘 한약제조업소에만
약재를 팔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매상과 병의원은 이 제조업소로부터 한약재를 구입하고,
농민으로부터 직접 사는 것은 금지됩니다.

[인터뷰: 김용호 /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관]
“2012년 4월부터 모든 한약재는
한약제조업소에서 잔류농약, 중금속 검사 등
의약품 품질검사를 거쳐 유통하도록 하였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청과 함께 단속을 실시해
위반한 사람들은 처벌할 예정입니다.

[스탠드 업: 이미지 기자]
이 제도의 시행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한약이력추적제’도
포석을 마련할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A 뉴스 이미지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