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군사전문가가 본 연예병사 잦은 휴가 논란 (윤상호)

2013-01-02 00:00 사회,사회

[앵커멘트]

동아일보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나왔습니다.

[리포트]

1. 배우 김태희와 열애설이 불거진 비에 대한 특혜 논란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죠?

정지훈 상병(31)특혜 논란이 누리꾼들을 중심으로 일파만파로 확산되면서 군 당국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방부 홍보지원대에서 연예병사로 근무 중인 비가 자주 휴가를 나와 데이트를 즐긴다는 보도가 나온 뒤 국방부의 인터넷 홈페이지 등엔 위와 같은 비판과 성토가 봇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남자친구를 군대에 보낸 한 여성은 2일 “난 군대 간 남친을 잘 보지 못하는데 김태희는 잘 만난다니 말이 안 된다‘는 내용의 글을 김관진 국방부 장관의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습니다. ”이러고도 일반 장병들에겐 최전방 철책을 지키라고 할 수 있나.”
“군의 사기를 저해하는 연예병사 제도를 폐지하라.”는 비난도 줄잇고 있습니다.

2. 비의 특혜시비가 불거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실제로 비의 군 복무 실태를 살펴보면 일반 병사들이 소외감을 느낄만한 소지가 적지 않습니다.

국방부에 따르면 비는 지난해 3월~12월 말까지 약 10개월간 71일의 휴가와 외박, 외출을 사용했습니다.

연예병사로 활동하기 전 육군 5사단에서 일반 병사로 근무하면서 받은 휴가와 병가 등 23일을 합치면 총 94일로 늘어납니다. 일반 병사보다 2배 이상의 휴가와 외박, 외출을 얻었고 그만큼 병영을 벗어나 ‘일상의 자유’를 만끽한 셈입니다.

3. 이번 사태에 대해 국방부는 어떻게 해명하고 있습니까.

군 당국은 잦은 공연과 외부 행사 지원 등 연예병사의 특성을 감안할 때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비의 경우도 여수 엑스포 지원활동과 일선 부대 위문 공연 등을 하는 과정에서 외출 외박이 잦았고, 이를 통한 우수한 근무성적으로 포상휴가를 받았다는 얘깁니다.

그러나 여론의 뭇매는 잦아들기는커녕 더 거세졌습니다. 결국 국방부는 2일 비를 포함해 현재 복무 중인 연예병사 15명의 휴가와 외출, 외박 실태조사에 착수하는 등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아울러 비가 군모를 착용하지 않고 부대를 나갔다는 의혹 등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규정을 위반했으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국방부는 밝혔습니다.

4. 연예병사에 대한 특혜시비가 불거진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죠.

연예병사의 특혜 시비는 최근 몇 년간 국회 국정감사의 단골메뉴였습니다.

국방부가 지난해 10월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2009년 1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전역한 연예병사 32명의 평균 휴가일수는 75일로 일반병사(43일)의 1.7배에 달했습니다.

2011년 국방부 국정감사에서도 연예병사 붐(본명 이민호)이 150일의 휴가를 간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일반 병사의 경우 육군 기준으로 21개월을 복무하면서 28일의 정기휴가를 받고 훈포상을 받으면 추가로 10일 이내의 포상휴가를 나간다는 점과 비교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5. 현재 군 복무중인 연예병사 현황은
연예병사의 공식 명칭은 국방부 홍보지원대원인데요. 현재 비를 포함해 16명이 군 복무를 하고 있습니다.

배우 정태우 지현우 김무열과 인기그룹인 수퍼주니어의 리더인 이특 등이 현재 복무하고 있습니다.

앞서 과다한 휴가로 논란을 빚었던 붐을 비롯해 가수 앤디(이선호)와 그룹 유엔 출신의 가수 김정훈, 배우 이동욱과 김재원도 연예병사로 군 복무를 했습니다.

6.. 과거의 사례에 비춰 비의 특혜 시비가 이처럼 커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은 “연예병사의 잇점을 활용해 ’휴가’와 ‘스타 여자친구와의 데이트’를 손쉽게 얻은 데 대해 군 안팎에서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이 일거에 터져 나온 것“이라고 분석합니다.

연예병사는 젊은 세대의 군 복무에 대한 거부감을 희석시키는 긍정적 측면도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군 복무 여건의 ‘공정성’에 대한 여론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됐습니다. 군 당국이 연예병사 제도의 빛과 그림자를 잘 살펴 특혜와 형평성 시비가 재발하지 않도록 운용의 묘를 살려야 할 때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