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서울 시내 버스 노사 협상이 오늘 새벽에 극적으로 타결돼
걱정했던 교통대란은 다행히 피했습니다.
그런데 시민의 발을 볼모로 잡은 이번 사태의 원인이
시내버스 준 공영제에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무슨 얘긴지, 정민지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극적 타결로 총파업 위기를 벗어난
서울 시내버스 임금협상.
[류근중/ 서울버스노조 위원장]
"노동조합은 만족하진 못하지만, 뒤늦게나마
노사가 서로 조금씩 양보해서 (협상이) 타결되었음을
다행으로 생각합니다"
[유한철/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정시에 운행하지 못한 점 사과드리고요. 여러분 고생하셨습니다."
노사는 임금 3.5% 인상과
무사고 수당 4만원 인상에 합의했습니다.
서울 시내버스도 정상 운행됐습니다.
하지만 서울시가 시내버스업체의 적자를
보전해주는 준공영제를 운영하고 있어서,
임금인상으로 인한 적자는
고스란히 서울시가 부담해야 합니다.
[현장녹취:박원순 서울시장]
"서울시가 갖고 있는 부채, 특히 대중교통 때문에 매년 1조정도의
적자가 쌓이고 있는 마당에서 제가 할 수 있는 폭도 제한돼 있는
게 사실이고..."
적자를 보전받는 구조에서 버스업체의
효율적인 운영을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현재 서울에는 66개 버스회사가 7,500대의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보는 적정대수보다 1,300대나 많습니다.
[이정훈/서울시의원(교통위원회)]
"중복 노선은 과감히 폐지하고
업체간 M&A를 통해 대형화를 유도해야.."
서울시가 해마다 적자를 보전해주고 있기 때문에
버스업체에 대한 서울시의 관리 감독 권한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채널 A 뉴스 정민지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