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중국, 김영환 전기고문…한계 부딪힌 ‘조용한 외교’

2012-07-27 00:00 정치,정치,국제

[앵커멘트]
북한 민주화 운동가 김영환 씨에게
중국이 전기 고문까지 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중국의 인권 유린 실태가
다시 한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가 조용한 외교를 내세워
지금까지처럼 뜨뜻미지근하게 대처하는 한,

이런 일은 또 일어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김정안 기잡니다.


[리포트]
(BGM+삽화)
첫 사흘 동안은 잠을 자지도, 앉지도 못하게 했습니다.

물 이외 식사는 허락되지 않았고
옆방에서는 고문 받는 이들의
비명 소리가 끊임없이 들려왔습니다.

2003년 중국 지린에서 탈북자를 돕다 국가안전위해 혐의로 체포돼
1년 6개월간 감옥에 갇혔던 정베드로 북한정의연대 대표의 경험담입니다.

(인터뷰) 정 베드로 / 북한정의연대 대표

“8평 되는 곳에서 많게는 30에서 35명. 아침에 일어나면 계속 가부좌 자세로 8시부터 4시반까지 있어야 했구요, 영사가 제발 한달에 한번 면담 오게 해달라 했는데도 묵살됐고….”

외국인 신분인 김영환씨에 대한 이례적인 고문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중국의 인권 유린 실태를 고발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 씨가 고문 사실을 공개한 이후에도 정부가 안이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도 거셉니다.

'김씨의 발언이 과장됐을 수 있다','석방됐는 데 왜 상황을 복잡하게 만드는 지 모르겠다'는 식의 불평이 외교부 내부에서 흘러나왔다는 겁니다.

김영환석방대책위원으로 활동해온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납득키 어려운 정부의 태도라면서 김영환 씨가 전기봉으로 고문 받은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전화녹취) 하태경 / 새누리당 의원
“네 (김영환씨와) 오전에 통화를 통해서 확인했습니다. 전기봉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인권 침해는 보편적 인권 유린의 전형이라면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가 재발 방지를 위한 매뉴얼을 마련하고 중국의 사과를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정안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