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우리 나라 선거판에서는
언제서부턴가 절대적인 구호가 됐습니다.
진보 진영이
연대의 고삐를 바짝 죄고나서자
흩어지려던 보수 진영도
분열은 이적 행위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지훈 기잡니다.
[리포트]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총선 승리를 위한
야권연대를 결성했습니다.
[인터뷰: 한명숙/민주통합당 대표(지난 10일)]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야권연대를 하게 됐습니다. 99% 국민이 이기는 선거 만들어야 한다는 일념에 만들었습니다"
계파갈등과 탈당으로 출렁거리던 보수진영,
공천이 유보된 김무성 의원의 탈당 직전 유턴으로
수습의 기미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새누리당 의원]
"내가 우파 분열의 씨앗이 되선 안된다는 생각끝에 백의종군이 내가 갈길이라고 결론내렸다"
탈당이 유력했던 친이명박계 진수희 의원 역시
이재오 의원의 만류로 잔류를 선언하면서
보수 진영은 한 고비를 넘기는 듯합니다.
광진갑에서 낙천한 친이계 권택기 의원 역시
공천의 부당함을 토로할 예정이지만
탈당은 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재오 의원을 중심으로 친이계가
보수 결집에 협력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정몽준 전 대표도 분열을 막기 위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습니다.
[인터뷰 :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
"보수도 당연히 힘을 합쳐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당 지도부가 이런 문제를 앞장서서 해야하고요"
하지만 최병국 의원이 탈당 대열에 합류하는 등
분열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은 서울 강북을에 안홍렬, 관악을에 오신환 후보 등
16명의 공천자를 추가로 확정됐습니다.
[인터뷰 : 정홍원/새누리당 공직후보자추천위원장]
“공천자 총 166명이고 앞으로 경선이 이뤄지고 있는 곳은 21곳 미공천 지역 59곳. 일부 공천 작업 완료되는 대로 발표하겠습니다."
채널A 뉴스 김지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