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툭하면 가동이 중단되고
사고가 잇다른다 했더니
그게 다 비리 때문이었던가 봅니다.
우리 원전 얘긴데요,
도대체 어디까지 썩어있을까요?
검찰은
한국수력원자력 전체로
수사를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채널 A 제휴사인
부산일보 김경희 기잡니다.
[리포트]
현재까지 울산지검에 구속된 원전 직원은 4명.
지난달 납품업체로부터 2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한수원 영광원전 이 모 과장이 구속된데 이어,
고리원전 과장과 팀장,
그리고 월성원전 팀장이 같은 혐의로 줄줄이 구속됐습니다.
납품계약 과정에서 수억원의 로비자금을 챙긴
브로커 윤 모 씨도 지난달 중순 구속돼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비리 사실이 속속 드러나자, 검찰은 지역 원전본부를 넘어
한수원 본사와 납품업체 전반으로 수사를 확대했습니다.
특히 구속된 원전 직원들이 받은 돈의 흐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확인된 액수 외에도 이들의 차명계좌에서
많게는 10억원에 이르는 자금이 발견돼
이 돈의 출처와 행방, 사용처 등에 대한
집중 수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검찰은 이 자금이 다른 원전 실무자와
고위 간부에게 전해졌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수사를 지켜보는 시민들은 불안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 서토덕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 사무처장]
"원자력발전소는 작은 사고가 커다란 사고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중고 부품을 썼다는 것 자체가
원전의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잇단 사고에 이은 조직적인 뇌물비리로,
정부의 '원전 안전' 구호는 더욱 신뢰를 잃게 됐습니다.
부산일보 김경희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