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어제 감사원이
현 정부의 역점사업인 4대강 사업에 대해
여러 문제점을 들어
부실 사업임을 지적했는데요,
(여)사업을 주도한
정부 부처는 펄쩍 뛰면서
적극 해명하고 나섰습니다.
류원식 기자입니다.
[리포트]
[‘4대강 사업’ 감사결과 발표 / 어제 감사원]
“총 16개 보 중 11개 보가 내구성이 부족하고
불합리한 수질 관리로 수질 악화가 우려되는 한편”
[‘4대강 감사’ 관련 정부 합동 브리핑 / 오늘 정부서울청사]
“핵심시설인 보는 안전과 기능상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4대강의 보와 수질에
문제가 많다는 감사원 지적에
주무부처 장관들이
직접 해명에 나섰습니다.
감사원은
흐르는 물에 강바닥이 깎이는 걸 막는 보호공이 유실됐다며
4미터 이하 소형보 기준을 잘못 적용했다고 지적했지만
국토해양부는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습니다.
4대강 보는 대형보 기준으로 설계했고
보호공은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것.
유실된 바닥보호공은 보강 공사를 하고 있지만
보 자체의 안전성과는 관계없단 설명입니다.
강바닥을 퍼내는 준설작업을 과도하게 해
바닥에 다시 쌓이는 흙이 많아졌고
이 때문에 준설비용이 매년 2천900억 원
더 필요하단 게 감사원 주장.
반면 정부는
사업 초기라 퇴적이 많았던 것이고
시간이 지나 강바닥이 안정되면
퇴적토도 줄고, 준설비도 덜 들 거라 해명합니다.
(보 때문에 녹조 심화?)
감사원은 보 건설 후 녹조 발생이 많았고,
수질관리 기준도 엉터리였다고 지적했지만,
환경부는
4대강 계획 수립 당시 수질관리 기준인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즉 BOD에 맞춘 것이고,
녹조 발생과 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긴
힘들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영숙 / 환경부 장관]
"작년에 녹조가 가장 먼저 심하게 발생한 곳은
4대강 사업을 하지 않은 북한강에서였습니다."
정부는 또
보에 나타난 균열과 누수는 안전과 관련성이 낮고
보강 작업도 끝낸 상태라고 강조했습니다.
채널A 뉴스 류원식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