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야권 단일화 논의가 서서히 고조되면서,
2002년 당시 노무현, 정몽준 후보의
후보 단일화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당시 단일화를 성사시켰던 당사자들은
이번 단일화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송찬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2002년 대선 직전 노무현 전 대통령과
후보 단일화를 했던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
당시에는 국민의 변화 요구가 반영됐지만,
이번 후보 단일화는 단순히 정권을 잡기 위한
수단이 되고 있다고 비판합니다.
[인터뷰: 정몽준 / 새누리당 의원]
"지금의 단일화가 과연 변화를 위한 것인지,
국정을 책임지겠다는 자세가 있는 것인지,
단순하게 권력을 잡겠다는 것인지…."
후보 단일화를 주도했던
새천년민주당의 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 측은
보수와 진보의 통합, 외연 확대라는 명분이 있어서
노 전 대통령과 정 의원의 단일화가 가능했다고 설명합니다.
[인터뷰: 설송웅 / 전 새천년민주당 의원 (당시 후단협 간사)]
"정책적 차이가 없고 성향도 비슷하고 특별히
외연을 확대할 수 있는 길이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종의 야합입니다."
이번 야권 후보 단일화가
2002년과 비교되는 이유는 마찬가지로
여론조사 방식이 거론되기 때문입니다.
2002년에는 100% 여론조사로
단일 후보를 선출했습니다.
줄곧 여론조사 결과에서 앞섰는데도 패배한
당시 정 의원 측은 10년이 지난 지금
더 큰 왜곡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전화인터뷰: 김행 / 당시 정몽준 후보 대변인]
"여론조사 환경이 모바일 환경으로 바뀌었습니다.
많은 외부의 개입과 여건을 만들 가능성이 큽니다.
구체적인 예가 통합진보당 사태입니다."
[스탠드업: 송찬욱 기자]
문재인, 안철수 두 후보의
후보 단일화에 대해 다양한 얘기가 나옵니다.
민심을 반영한 단일화인지 정권 잡기 수단으로만 전락할지는
결국 국민의 선택이 판가름하게 됩니다.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