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서울시가
중소 상인들을 보호하겠다며
대형 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에서
소주와 라면, 두부, 콩나물 등을
팔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곳저곳에서
볼멘 소리가 나오는 걸 보니,
썩 잘된 정책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우정렬 기잡니다.
[리포트]
대형마트 계산대에
라면을 상자 채
계산하는 시민이 보입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모습을 볼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서울시가
중소상인 보호를 위해
대형마트나 기업형슈퍼마켓의
판매 품목을 제한해 달라고
지식경제부에 건의키로 했기 때문입니다.
서울시가 검토중인
판매제한 품목은
소주, 막걸리, 라면, 담배, 두부, 콩나물,
종량제 봉투, 건전지, 전구 등으로
전해졌습니다.
소비자들은
장보기가 불편해질까 걱정입니다.
[인터뷰 : 오설화 / 서울 신당동]
"(장을) 두 번 봐야 되잖아요.
(그럼 주부 입장에서는?)
불편하죠."
[인터뷰: 신완식 / 서울 삼선동]
"못 팔게 하면 안 되지
민주국가에서 그렇게 될 수가 있을까?
힘들 것 같은데 못팔게는?"
매출 타격이 예상되는
대형마트도 반발하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 대형마트 관계자]
"쇼핑의 불편도 당연히 문제가 되는 부분이고요.
현실적인 고려 없는
탁상 행정의 전형적인 표본인거죠"
파문이 일자
서울시는 판매제한 품목 등을
아직 정하지 않았다며
한 발 물러 섰습니다.
하지만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마트 규제가 불가피하다는 게
서울시의 방침이라
시행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채널A 뉴스 우정렬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