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자기도 민망했던 걸까요?
노다 총리는 서둘러
일본으로 돌아갔습니다.
핵 안보 정상 회의 참석을 위해
우리 나라에 온 지 만 하루도 안됐고,
이명박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도 없었습니다.
뭐가 그리 급했을까요?
이어서 고정현 기잡니다.
[리포트]
극우파를 두둔하는 듯한 일본 노다 총리의
발언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지난해 재무상이던 시절,
A급 전범이 전쟁범죄자가 아니라는 말을 해
논란이 됐습니다.
위안부가 성노예가 아니었다는 말도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국내 정치를 의식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떨어진 내각의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강경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 이원덕 / 국민대 일본학과 교수]
"자민당하고 민주당하고 첨예하고 대치하고 있는
그런 국면에서 일본 국민들 유권자들에 대해
좀 더 애국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는 것을
어필하기 위한 정치적인 제스쳐다."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서울에 왔던 노다 총리는
서둘러 돌아갔습니다.
위안부 문제 해법을 제시하라는 한국 측 요구가
부담스러웠던 것으로 보입니다.
[녹취 : 박철희 /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일본 측이 답을 내놔야 할 상황인데요,
노다가 개인적으로는 오답을 냈다고 봅니다."
게다가 독도 영유권 주장을 담은 역사 교과서 검정 발표와
시기가 겹치면서 정상회담을 피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고정현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