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총선을 앞두고
낙천 낙선운동이
봇물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법의 테두리를 넘나들거나
편향성 문제로 논란을 일으키는
낙선운동도 있으니
꼼꼼히 따져보시기 바랍니다,
박민혁 기잡니다.
[리포트]
한미FTA와 4대강 사업에 찬성했다는 이유로
낙천 낙선 운동 대상자에 포함된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
두 곳에나 이름이 올랐지만 개의치 않습니다.
[인터뷰 : 정두언 / 새누리당 의원]
“국익을 위해 소신껏 했기 때문에 선거에 영향을 미치더라도 할 수 없습니다. 국민들이 소신껏 한 국회의원들을 믿어줄 것으로 생각합니다.”
유권자들의 생각은 엇갈립니다.
[인터뷰 : 황학선 /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투표에 영향을 미치겠습니까)물론 약간 미치겠지만은 그렇게 하면 한나라당(새누리당) 의원은 다 해당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인터뷰 : 신금숙 /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이 지역에서는 당연히 낙선(대상) 보지요.”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는 지난 총선 때 공약의 이행 정보를
제출하지 않은 여야 의원 23명의 명단을 각 당에 전달했습니다.
공천에서 불이익을 주라는 얘깁니다.
[인터뷰 : 이광재 /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한국사회 발전에 발목을 잡는 거짓정치를 뿌리 뽑고자 하는 것이다. ”
정파성을 띤 단체들의 낙선 운동도 시작됐습니다.
진보진영 시민단체가 연대해 만든 ‘총선유권자네트워크’는
4대강 사업에 찬성한 30명의 명단을 공개했습니다.
한미FTA저지범국민운동본부도 한미FTA에 찬성한
160명의 명단을 낙천 낙선 대상자에 포함시켰습니다.
이에 반발한 자유주의연대 시대정신 등 보수성향 시민단체들도
‘노타이(NO, Ties)’를 구성해 낙선운동을 벌일 예정입니다.
오는 22일 한미FTA 폐기를 주장하며 말을 바꾼
10명의 명단을 공개합니다.
[인터뷰 : 윤종빈 /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시민운동과 정치적 서포터즈 운동은 구분돼야 됩니다. 시민운동에 의한 낙천 낙선 운동은 이념적으로 중립성을 반드시 유지해야 됩니다.”
대형마트 영업허가제 반대와 같이
특정 분야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압력단체들의
낙선운동도 벌어지고 있습니다.
낙천 낙선 운동은 어디까지가 합법일까요?
[전화인터뷰 : 이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계장]
“인터넷을 통해 낙천낙선 운동하는것은 가능합니다. 인쇄물 시설물 집회로 낙천낙선운동을 하면 선거법에 위반이 됩니다.”
채널A 뉴스 박민혁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