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잠시 후 밤 11시, 미국 뉴욕시간으로 12일 오전 9시 유엔 안보리가 소집됩니다. 또 국회 정보위원회, 국방위원회가 소집되는 등
안보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여>이 시간에는 북한 핵의 실체를 진단해보고, 국제사회의 대응과 아울러 새 정부의 대북 전략을 전망해보겠습니다.
국방부 정책실장을 역임한 바 있는 장광일 장군,
새누리당 국제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옥임 전 의원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김용수 교수
동아일보 하종대 국제부장 모셨습니다.
출연)
장광일
- (전) 국방부 국방정책실 실장
-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 (전) 육군 군단장
- 육군사관학교 제31기
정옥임
- 새누리당 국제위원회 부위원장
- 새누리당 북한핵도발대응특별위원회 위원
- 제18대 국회의원
- 고려대 정치외교학 박사
김용수
-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IAEA 원자력재료물설DB센터 센터장
- 전 한양대 원정기기기술연구소 소장
- 전 현대엔지니어링 원자력부 엔지니어
하종대 동아일보 국제부 부장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핵실험 의미는?
일단 오늘 핵실험의 실체를 짚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국정원은 <소형화 성공 못했다>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1. 이번 실험결과에 대한 평가 : (폭발력이) 6-7kt 정도라는데, 어떤 의미가 있나? 지진파 4.9라는 데서 추론한 거지요?
1-1) 북한 주장대로 소형화에 성공했다면 북한은 핵무기 보유국 된 것...
결국 20년을 지속해온 비핵화 정책이 실패한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영상===
기상청 지진감시 영상 스케치 (+반투명 CG)
===========
2. 플루토늄 핵실험이다, 고농축우라늄탄이다. 추측이 분분한인데 차이는 무엇이고 이번에는 무슨 탄이 사용됐을까요? 뭘 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나요?
====CG===
우라늄탄과 플루토늄탄 차이
==========
3. 북한 방송이 <높은 수준에서 안전하고 완벽하게 실험을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높은 수준....이라는 게 우라늄탄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4. 우라늄탄을 사용한 핵실험이었다면 어떤 점을 우려해 볼 수 있습니까?
그러면 오늘 오후에 북한이 발표한 내용을 잠깐 들어보겠습니다.
(영상 play)
====싱크===
조선중앙TV 편집본
===========
5. 북한은 <핵실험에 소형화, 경량화 된 원자탄을 사용했다>고 하는데, 우라늄탄과 연관지어 생각해볼 수 있을까요?
6. 나가사키, 히로시마 핵폭탄보다 작다고 하는데 어떤 의미인가?
(1945년 히로시마에 투하됐던 핵폭탄 위력(16kt)의 절반 수준이라고 하는데, 어떤 의미인지)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