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요즘 정치권에서는
여론 조사가 만병 통치약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구난방으로 발표되는 여론 조사는
들쭉날쭉, 오히려 더 헷갈립니다.
전가의 보도처럼 휘둘러대는 여론 조사,
과연 믿을 수 있을까요?
김지훈, 송찬욱 기자가 집중 보도하겠습니다.
[리포트]
4월 총선에서 각 당은 여론조사를 활용해 공천을 합니다.
[인터뷰:권영세/새누리당 사무총장(2월29일)]
"가급적이면 후보들에게 동의를 받아 여론조사 경선을 유도하려 한다"
[인터뷰:이미경/민주통합당 총선기획단장(2월17일)]
"적합도 경쟁력은 여론조사를 가지고 현역의원 평가하겠다"
여야 모두 공천의 중요한 잣대로 여론조사를 선호하지만
공정성 논란은 끊이질 않습니다.
일부 예비후보들은 조직을 동원해 지지율을 끌어올리려는 시도도 서슴치 않습니다.
[인터뷰: 이택수/리얼미터 대표]
" 여론조사 전 자신의 조직을 잘 가동하면 지지율을 긍정적으로 끌어올릴 수도 있습니다"
예비후보들이 자체적으로 조사했다는 여론조사는
질문 구성부터 편파적입니다.
새누리당의 경우 지지율이 높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연관된 질문을 묻고,
민주통합당의 경우 노무현 전 대통령과 관련된 경력을 넣어 유권자에게 묻습니다.
[스탠드업: 김지훈 기자]
결과는 여론조사를 의뢰한 사람의 지지율이 더 높게 나왔습니다.
어떻게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요?
송찬욱 기자가 자세한 내용 전합니다.
후보 지지 여부를 묻는
평범한 설문 문항입니다.
여기에 문구 하나를 더해봤습니다.
또 다른 설문 역시
평범한 질문에 단서를 하나 달았습니다.
[스탠드업: 송찬욱 기자]
"설문 문구를 조금만 바꾸면 결과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직접 알아봤습니다."
같은 취지의 질문이지만
응답자의 이해관계가 걸린 문구가 추가되자
결과는 딴판으로 나옵니다.
연평도가 북한 공격으로 점령당하면
국군을 파견해야 한다는 응답은 79.4%였습니다.
하지만 본인이나 형제자매가 파견될 경우
파견해야 한다는 응답은
45.3%포인트나 급락했습니다.
또 대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반값등록금을 찬성한다면
지지하지 않는 정당 후보라도
뽑겠다는 응답이 11%포인트 늘어납니다.
[인터뷰: 안동근 /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설문문항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서 유권자의 응답이 많이 달라집니다. 그런 결과를 유권자들이 그대로 믿는 것은 올바른 투표를 하는데 큰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조사결과를 아예
조작하기도 합니다.
[전화인터뷰: 전 국회의원 선거캠프 관계자(음성변조)]
"자기 자신의 지지율이 낮게 나온 것을 고려해서 다른 후보들과의 지지율을 바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응답률이 낮을 경우엔
응답자 수를 조금만 늘려도
순위까지 조작이 가능합니다.
[전화인터뷰: 전 여론조사기관 관계자(음성변조)]
"5명만 응답해주면 순위가 바뀔 수가 있어요. 그 정도 응답률이면, 10명만 응답해줘도 차이가 커질 수 있죠.”
믿어도 그만,
안 믿어도 그만인 여론조사,
유권자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