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지자체 무리한 사업확장…지역 곳간 ‘위태위태’

2012-04-04 00:00 사회,사회

[앵커멘트]
지방자치단체들의
무리한 사업 확장이
심각한 재정난을 부르고 있습니다.

시청 직원들의 수당을
제때 주지 못하는가 하면

빚에 허덕이는 지자체도
한두 곳이 아닙니다.

백미선 기잡니다.




[리포트]

1년 예산이 8조 원이나 되는 인천시는
이번 달 직원들의 복리후생비를
제때 지급하지 못했습니다

이렇게 재정이 바닥난 이유는
몇년 전부터 한꺼번에 시작된 대형 사업들 때문입니다.

4만 9천석 규모의 문학경기장이 있는데도
1조 5천억 원 규모의 아시안게임 주경기장을
빚을 내서 새로 짓고 있습니다.

아시안게임에 맞춰 개통을 앞당긴
도시철도 2호선에도 2014년까지 1조원이
들어가야 합니다.

지난해 말 기준, 인천시의 부채 비중은
전체 예산의 38%에 이릅니다.

[인터뷰: 이정호 인천시 자치행정국장]
“일시에 큰 사업들이 몰리다보니까 투자는 했는데 땅은 안팔리고 유동성의 문제가 된거죠”

이같은 재정난은 인천시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호화청사 건설로 논란이 됐던 경기도 성남시는
2년 전 파산 선언을 하기도 했습니다.

경전철을 건설하느라 1조 원 이상 투입한
용인시도 재정부족이 심각합니다.

시흥시는 지난해 말 한 때 부채비율이
재정위기 수준인 40%를 넘었고

국립대구과학관 역시 예산 부족으로
한달 반 동안 공사가 중단되고 있습니다.

빚에 허덕이는 지자체들은
정부의 지원을 바라고 있지만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행정안전부 관계자]
"방만하게 운영한 경우에 인센티브를 줄 수도 없고
기본적으로 자치단체 자구노력이 선행돼야겠죠."



전문가들은 재정난을 겪는 지자체가 신규사업과 지방채 발행을 남발하지 못하도록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채널에이 뉴스 백미선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