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이십대의 태반이 백수라는 ‘이태백’도
옛말이 될 정도로
청년 실업난은 심각하기 그지 없습니다.
동아일보와 대기업,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추진하고 있는 청년 실업 해결 프로젝트가
칠흑같은 청년 실업 시장에
한 줄기 빛을 드리우고 있습니다.
김창원 기잡니다.
[리포트]
지난해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 준비 중인 김태영 씨.
가끔 모교 도서관을 찾기도 하지만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INT 김태영 취업재수생]
학교 도서관 가는 것도 후배들 자리 빼앗는 것 같아 눈치 보이고,
좀 마음을 편하게 먹고 취업 준비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부모의 도움을 받으며 취업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 실업자는 약 80만 명.
이처럼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한
쉼터가 서울 관악구 공공도서관에 마련됐습니다.
동아일보가 지방자치단체, 대기업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청년드림캠프' 1호점입니다.
[INT 유종필 관악구청장]
동아일보와 삼성전자가 전국의 청년 취업을 도울 수 있는 드림캠프를
관악구에 1호점을 만든 게 의미가 있습니다.
드림캠프를 찾는 청년 구직자들은 취업정보와 함께
대기업 임직원들로부터 인터뷰 요령 등
취업 관련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을 청년 취업센터로 활용해
지역사회의 취업허브로 자리잡도록 한다는 겁니다.
[INT 김남용 삼성전자 상무]
청년드림 관악캠프에서 재능기부를 통해 청년들이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힘쓰겠습니다.
청년 실업 해결을 위해 마련된 '청년드림캠프'
경기 부천과 전남 순천에도 2, 3호점이 문을 열 계획입니다.
채널A뉴스 김창원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