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주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던
방사능 아스팔트가 지금도
해당 구청 근처 임시 공간에
버젓이 쌓여있다고 합니다.
정부와 구청이 서로 책임을 미루다
세월만 보낸 겁니다.
김경목 기자가 그 현장을 고발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11월 발생한
전대미문의 주택가 도로 아스팔트 방사능 유출 사건.
제거한 아스팔트를 임시장소에 보관했지만
통제가 되지 않아 주민들이 불안에 떨었습니다.
[인터뷰 : 주민]
"저희집 근처 아파트에 근처에 있다니까
조금 당황스럽긴 하네요."
7개월이 지난 지금,
방사능 아스팔트는 어디로 갔을까?
올해 1월부터 노원구청이 임시로
도로를 통제해 펜스로 가려놓은 공간.
파란 비닐로 덮어놓은 모습이
허술하기 짝이 없습니다.
[스탠드 업 : 김경목 기자]
문제가 된 아스팔트 처리를 위해 지난달 분류작업을 마쳤지만
여전히 700여 톤의 아스팔트가 그 자리에 방치 돼 있습니다.
분류 결과, 방사능이 검출된 아스팔트가
460여 톤이 넘지만
주민들의 눈만 가리는데 급급합니다.
문제가 해결된 줄 알았던
주민들은 다시 분통이 터집니다.
[인터뷰 : 김형자 /서울 상계동]
"빨리 처리해 줬으면 좋겠어요.
눈에 안 보이지만 마음이 항상 쓰이잖아요."
노원구청과 책임 문제로 6개월간 처리를 미루던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10일에야 법제체에 유권해석을 의뢰했고,
보름 뒤 중앙정부의 책임으로 결정이 났지만
여전히 협의중이라는 말만 반복합니다.
[인터뷰 :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
"국가에서 부담하는 게 법률취지상 타당하다고만
결론을 내렸지 어느 부처에서 명확하게 안 내려줬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 협의를 하는..."
구청 측은 책임을 떠넘길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는 분위기입니다.
[인터뷰 : 노원구청 관계자]
"이제 안되면 주민이라도 가서 데모해야죠.
데모라도 하고 주민들이 실력행사를 해야죠.
저희들이 가자고 해야죠. 저도 나갈 겁니다."
유례가 없는 일이라 처리가 지연된다는
관련 기관들이 변명만 늘어놓기 수 개월.
언제나 주민들의 불안이 해소될지 알 수 없습니다.
채널A 뉴스 김경목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