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돌덩이 처럼 단단할 것 같던 야권 연대에
금이 가고 있습니다.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론 조사 조작 시비 때문입니다.
새누리당도
여론 조사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한때 선거의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던 여론 조사,
뭐가 문젤까요?
박민혁 기자의 집중 취잽니다.
[리포트]
이정희 심상정 노회찬 천호선,
이른바 통합진보당의 빅4 지역이
여론조사 경선 부정 시비로 들썩거립니다.
이정희 공동대표가
여론조사 응답에서 연령을 속이라는 취지의
문자메시지를 보좌진들이 보낸 사실을 시인한 뒤
경선에서 패한 민주통합당 후보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인터뷰 : 김희철 / 민주통합당 의원]
“여론조사 책임을 지고 이정희는 사퇴하라. 진보의 생명은 바로 도덕성에 있는 것이다.”
[인터뷰 : 고연호 / 서울 은평을 민주통합당 후보]
“이정희 심상정 노회찬 천호선 지역에는 일괄적으로 진보당의 조직적인 계획되고 시나리오에 의한 각본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통합진보당이 봉합을 위해 지도부 회동을 요청했지만
민주당은 냉랭합니다.
[인터뷰 : 박용진 / 민주통합당 공동대변인]
“지도부 회동은 검토해보겠지만 태산처럼 무거운 책임감이 필요한 때입니다.”
한 때 동지였던 진보신당도
이정희 대표의 후보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통합진보당은 고발로 맞섭니다.
천호선 후보는
‘통합진보당이 야권단일화 여론조사를 조작했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낸 유포자를,
심상정 후보는 경선에서 진 민주통합당 예비후보를
허위사실 유포와 악의적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새누리당에서는 현역의원 가운데 하위 25%를
컷-오프 탈락시키기 위해 실시한 여론조사가
친이명박계 학살 도구가 됐다는 논란이 여전합니다.
현역의원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지 않은데다,
일부 의원은 상대 후보보다 지지율이 높아도
하위 25%에 포함됐다는 이유로 공천에서 배제된 반면
일부 의원은 하위 25%에 해당됐는데도
슬그머니 공천장을 줬습니다.
[진수희 싱크]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하라"
[스탠딩 : 박민혁 기자]
공천 혁명이다, 온전한 민심의 반영이다 라는 허울속에
여론조사 경선의 부정은 과거 직접투표 경선보다
더 심해지고, 더 교묘합니다.
경선에 여론조사 방식이 도입된 것은
2002년 노무현-정몽준 두 사람의 민주당 대통령 후보 단일화 때입니다.
이후 2006년 지방선거부터 본격적인 경선여론조사가 실시됐고,
2007년 대통령선거 당내 경선에서도 반영되기 시작했습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서울 관악을 현장을
정영빈 기자가 다녀왔는데요.
정영빈 기자,
관악을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정치권처럼 난리 법석인가요?
[스탠딩 : 정영빈 기자]
정치권만큼은 아니지만
어떤 결론이 날지 관심은 많았습니다.
서울 관악 을 지역의
여론조사 조작의혹 논란은 더 확산되고 있습니다.
[스탠드업]
이정희 후보와 민주당 김희철 후보 사이의 공방에 대해서
이곳 관악 을 지역 유권자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들어봤습니다.
[인터뷰: 장인태/관악을 주민]
"관악 주민들은 아마 수도권에도 진보세력이 한 분이라도 뿌리를 박는 게 올바른 정치발전에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터뷰: 이경희/관악을 주민]
"내가 생각하기엔 재경선을 해야할 거 같다. 서로 줄다리기 하면서 너는 이렇고 나는 이렇다 하니까 새로 경선하는 게 정당한 거 같다"
지역주민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여론조사 조작이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대한 의혹도 커지고 있습니다.
후보 진영에서 "연령층을 속여 투표해 달라"는 메시지를 유권자들에게 보내려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먼저 여론조사 기관의 조사대상 명단을 파악하고 있어야 하고
연령대별로 얼마나 응답을 받았는지도 실시간으로 받아봐야만
메시지 발송이 가능해집니다.
[인터뷰: 이동섭 / 민주통합당 노원병 예비후보]
"30분 후에 여론조사 시작된다는 건 여론조사 회사와 내통이 된거다. 그렇지 않고 어떻게 30분 후에 여론조사 시작한다고 얘기할 수 있나"
[스탠딩 : 박민혁 기자]
비단 여론조사만 문제되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이설 기자,
현장투표식 경선에서도, 새롭게 도입한 모바일 경선에서도
동원과 선거인단 대리등록 의혹이 잇따랐죠?
[스탠딩 : 이설 기자]
네 그렇습니다.
민주통합당은 모바일 투표가
현장투표 경선에서 발생하는 돈선거, 동원선거 소지를 없애는 선거혁명이라고 말해왔습니다.
[인터뷰:한명숙/민주통합당 대표(2월20일)]
“민주통합당의 공천혁명을 완성시킬 주인공도 바로 국민여러분이고 변화를 명령하는 주인공도 국민여러분이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모바일 선거도 별반 달라진 게 없습니다.
선거인단 불법 모집혐의를 받던 전직 동장의 자살,
아르바이트로 선거인단을 대리등록한 고등학생….
[인터뷰:장성민/ 민주통합당 고흥 보성 예비후보(경선 탈락자)]
“한명숙 대표 체제가 도입했던 민주당 사상 최초의 국민 모바일 경선 취지가 하루아침에 차떼기 동원선거로 전락하는 오점을 남겼다.”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온라인 투표로 이뤄진
통합진보당의 청년 비례대표 경선도 서버 조작 논란에 휩싸여
진상조사위원회가 사태 파악에 나섰습니다.
상황이 이쯤 되다보니 신악인 모바일 경선이
구악인 오프라인 경선을 뺨친다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인터뷰: 배종찬/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
“전자투표제를 통해서 오랜 기간을 통해서 후보자 정책이라든지 후보자 개인 역량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도입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호남 10여 곳에선 모바일 경선 대리투표 의혹에 더해
현장투표 경선에서의 버스동원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무더기 공천 취소사태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이설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