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어제는 전국 시내버스 노조가 시민의 발을 볼모로 파업을 결의하더니,
오늘은 농어민과 중소상인이 대규모 집회를 열었습니다.
국회가 법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일명 '택시법'과 '유통법'이 화근이 됐는데요,
분쟁을 조정해야 할 정치인들이
오히려 갈등을 조장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김창원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대형마트에 물건을 납품하는
농어민과 중소기업인 2000여명이
서울역 광장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습니다.
이들은 “대형마트의 영업규제를 강화하는 것은
포퓰리즘식 입법 ”이라며 철회를 주장했습니다.
국회가 법개정을 추진 중인 유통산업발전법, 일명 '유통법'은
대형마트의 영업제한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유통법은 재래시장 등 소상공인을 보호한다는 취지로
올해 1월부터 시행됐지만 부작용이 컸습니다.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농어민과 중소업체,
입점 업체들의 손해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SYC 이숙영 임대매장 상인]
"대형마트안에 상인들이 얼마나 힘든지 아세요? 국회의원들이 한시간만 와서 보라고 그래"
[SYC 최종익 대형마트 납품 농민]
"매출이 전년대비 20% 빠졌구요 경기도 어려워서 매출이 계속 빠지고"
이들은 정치권의 유통법 개정이
영세 상인의 표를 의식한 탓이라고 지적합니다.
지난 15일 대형마트와 상인단체가
자율적으로 상생을 합의했는데도
정치권이 법개정을 강행해 오히려 갈등만 키웠다는 겁니다.
이같은 비난이 잇따르자 국회는 결국 유통법 개정안 상정을 포기했습니다.
채널A뉴스 김창원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