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대통령의 외교안보수석. 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의 안보정책을 최측근에서 보좌하게 됩니다. 직업외교관이건, 국제정치학 교수건 모두 꼭 한번 해 보고 싶은 자립니다.
(여)
오늘 이 자리에는 2010년 가을부터 2년 넘게 이명박 대통령을
보좌한 천영우 외교안보수석을 모셨습니다.
NLL 논란, 김정은 체제 평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 남북 정상회담 : 임태희 노동부 장관이 싱가포르에서 김양건 부장 만났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언론 LEAK 생겼고, 장관급 협의채널이 <개성에서 국장급>으로 바뀌었습니다. 임 실장은 지난주 채널A 출연해서 “시샘이 있었다” + “형식 격하는 유감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일이 있었던 겁니까?
Q. 정상회담 : MB 정부에서 남북정상회담은 성사에서 80% 능선까지는 다가갔던 건가요? 가장 근접했던 것은 언제라고 봐야 합니까?
Q. 김계관 : 노무현 정부 4,5년차 때 6자회담 수석대표 지냈다. 그때 북한측 상대방은 김계관이지요? 김계관은 어떤 사람입니까? 김계관을, 아니 북한 협상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장면이 있습니까?
Q. 한미 미사일 협정 : 작년 3월말 이 대통령이 동아일보와 인터뷰할 때 <한미 정부가 사거리 연장에 이해를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과 일본 언론에 반향이 컸습니다. 그땐 어느 정도 이야기가 됐었던 겁니까? 실제 발표는 8개월이나 지난 뒤인 11월에 나왔습니다.
Q. 북한 김정은 체제. 아버지 체제와 비교해 주십시오.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짧게 부탁드립니다. (1)식량사정 (2)정치적 안정 혹은 내부통제 강도 (3)핵과 미사일 위협정도.
Q. 3차 핵실험 : 북한이 미사일 발사. 유엔 아직 제재가 없다. 그러다가 3차 핵실험하는 거 아닌가? 왜 유엔은 1개월 넘도록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건가요?
Q. 5년 전 2차 평양 정상회담 : NLL 관련 문서를 봤다고 국회에서 진술하셨는데요. 말씀 못하실 대목 몇가지 있겠지만, 사소한 것 한 두가지 여쭙겠습니다.
Q. 북한 내 변고를 일으킬 에너지가 상승하는 게 <틀림없다>라고 MB 정부 외교백서 서문에 쓰셨지요? 어떤 것을 말하는 건가요? 실명으로 이런 내용을 쓴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일텐데, 왜 이렇게 결심하셨나요?임계치에 다다른다는 건 어떤 걸 말하는 건가요?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