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최근 정치권에서 여야가 한목소리로
'재벌 개혁'을 이야기합니다.
필요는 하지만, 총선을 앞둔
'반짝 정책'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현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재벌 개혁'에 칼을 빼들었습니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출자총액제한제 보완' 발언을 시작으로
비대위 정책쇄신분과에서 시동을 걸었습니다.
[인터뷰 :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 (정책쇄신분과)]
-"현재와 같은 재벌의 탐욕 억제하고 중소기업 보호할 수 있는 실효적 대책 마련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 이뤘습니다."
크게, 공정거래법 강화,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 방지, 하도급 관행 전면 혁신 등으로
검토 과제를 추렸습니다.
무차별적인 '재벌 때리기'가 아니라
사익이 남용되는 부분에 제도적인 제한을 가하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대기업 프렌들리' 정책을 써온 현 정부와 선을 긋고
'부자정당' 이미지도 벗겠다는 속내로 풀이됩니다.
민주통합당도 질세라
재벌개혁에 강수를 두고 있습니다.
한명숙 대표는 아예 출총제 부활 등 '경제 민주화' 정책을
총선 공약의 핵심으로 꼽았습니다.
얼마 남지않은 4월 총선을 염두에 둔
정치권의 '포퓰리즘 경쟁'으로
경제에 주름살이 낄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현수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